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노화의 개념
    실버라이프 2024. 3. 23. 14:38
    반응형

    노화의 정의

    노화를 인간의 정상적 성장이며 발달 과정의 일부로 간주한 비렌은 노화가 세 가지 방향에서의 변화를 포함한다고 주장하였다. 생물학적 노화는 신체기관과 체계의 구조와 기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뜻하고, 심리적 노화는 축적된 경험에 근거한 행동, 감각, 지각, 자아에 대한 인식 등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적 노화는 생활주기에 따라 규범, 기대, 사회적 지위 및 역할 등이 변화하는 것을 뜻한다. 

    비버는 노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기체의 세포, 조직, 기관조직, 또는 유기체 전체에 일어나는 점진적 변화라고 말하였고, 노화란 서서히 자연적으로 오는 변화과정으로 신체적 과정에만 속하지 않으며, 인간이 성숙하고 노화되는 과정은 마음, 사회적 관계에도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애칠리는 노화는 단순한 과정이 아니라 다양한 과정이며 양면성이 있다고 보았다. 노화과정에서 인간은 경험 및 지혜의 축적, 기술 및 활동 능력의 향상과 같은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신체적 노회, 정식 능력 감퇴, 퇴직, 배우자 또는 치구의 죽음 등 부정적 결과를 얻을 수도 있어 양면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노화의 특성

    첫째, 노화는 발달의 변화로 여겨지지만 나이가 들어도 어린 시절의 모습을 갖고 있듯이 노화 과정에서 변화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변화와 함께 신체, 심리, 사회적 측면에서 변하지 않고 동일하게 남아 있는 안정성도 고려해한다. 둘째, 노화과정에서 상실이 특징적이지만 노년기에 건강을 상실하는 반면 경험과 지혜가 커지는 것과 같이 새로운 특성을 얻기도 한다. 노화는 상실과 획득, 쇠퇴와 성장,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라는 양면을 갖고 있고 이를 동시에 생각해야 한다. 셋째, 노화는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본질적인 것이지만 개인의 차이가 분명 있다. 노화의 보편성과 독특성을 같이 생각해야 한다. 넷째, 노화를 유전적 프로그램에 의해 유발되는 외적 변화로만 인식하지만, 외부의 환경적 요인 역시 노화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며 노화에 따라 내적 변화 또한 생긴다. 노화의 원인과 결과를 논의할 때 반드시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을 동시에 생각해야 한다. 다섯째, 생물학적 노화는 원상회복이 불가능하나, 직업적 역할의 상실과 같은 사회적 노화는 회복할 수 있다. 

     

    노년학

    노년학은 노화의 개념을 생물학적 개념을 넘어서 확장시켰다. 노화는 성인기 삶에서 신체적 변화와 마음과 정신능력에 일어나는 변화, 사회 속에서 어떻게 간주되며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사회로부터 기대되는 것은 무엇인가에 있어서의 변화를 포함한 광범위한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다. 

     

    노인의 정의 

    나이가 많은 사람, 늙은 사람을 뜻하던 단어인 노인을 정의한 것은 연령 혹은 생물학적 노화 기준으로 단순하게 정의할 수 있으나 연령 혹은 신체적 퇴장을 의미하는 생물학적인 노화만을 기준으로 노인을 정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노인에 대한 여러 정의를 종합해 보면 노인은 노화의 결과로 인해 신체, 심리, 사회적인 기능이 약하게 되어 생활 자립 능력과 환경 적응 능력에 변화가 생기고 이와 관련하여 국가의 제도나 정책의 관심을 받는 사람이라고 정의 내려 볼 수 있다. 

     

    노인에 대한 호칭

    어르신은 아버지를 높여서 일컬을 때 사용하던 말로 노인을 대신할 수 있는 고령층에 대한 존중을 담은 대체 용어를 찾던 노력의 결과로 실시된 노인 호칭 공무에서 당선된 단어이다. 그 밖에 제3기, 뉴실버세대, 신중년의 단어들이 사용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