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기준, 시니어가 받을 수 있는 5가지 정부지원금 총정리실버타운·노후생활 2025. 4. 3. 16:46반응형
✅ 2025년 기준, 시니어가 받을 수 있는 5가지 정부지원금 총정리
“정부에서 지원금이 많다는데, 우리 부모님은 뭘 받을 수 있을까?”
65세 이상이 되면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이 꽤 많지만,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현재, 소득이 낮거나 건강·생활이 불편한 어르신이라면 아래 5가지 혜택을 꼭 확인해보세요.
🧾 1. 기초연금 (최대 월 33만 4천 원)
65세 이상 중 소득인정액이 일정 수준 이하인 분께 지급되는 현금성 지원입니다.
- 단독가구 기준: 월 소득인정액 213만 원 이하
- 부부가구 기준: 341.6만 원 이하
- 2025년 지급액: 최대 월 334,000원
👉 자세한 내용은 [기초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에서 확인해보세요.
🧾 2. 장기요양보험 급여 (요양등급별 방문요양, 시설이용 등)
치매, 중풍, 거동 불편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에게 지급되는 지원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장기요양등급(1~5등급 또는 인지지원등급)’을 판정받아야 합니다.- 주요 서비스: 방문요양, 방문목욕, 요양시설 입소 등
- 급여 범위: 월 100만~200만 원 상당 서비스 제공
- 본인부담금: 15~20% 수준 (기초생활수급자는 면제 가능)
💡 TIP: 등급판정을 받기 전 의사 소견서 준비가 중요합니다.
🧾 3.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현금 지원)
소득이 거의 없는 어르신에게 최소한의 생계를 위한 현금 지원이 이뤄집니다.
- 지원 금액 예시 (1인 기준): 월 약 70~80만 원 (2025년 기준)
- 조건: 중위소득 30% 이하 + 부양의무자 기준 적용 제외
- 중복 수급 가능: 기초연금과 함께 받을 수 있음 (일부 조정됨)
※ 보장가구 소득이 생계급여 선정 기준보다 낮아야 합니다.
🧾 4. 노인일자리 참여 수당 (월 최대 30만 원 수준)
노후에 적극적으로 일하고 싶은 어르신을 위한 지원입니다.
공공근로나 복지형 일자리에 참여할 경우 월급 형태로 수당 지급이 이뤄집니다.- 대상: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우선
- 예시 직무: 학교 앞 교통봉사, 환경정화, 경로당 관리 등
- 급여 수준: 월 20만~30만 원 내외 (근무 시간에 따라 차이)
👉 노인일자리 신청자격 및 여기 홈페이지 총정리에서 살펴보세요.
🧾 5. 노인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경감/면제 제도
요양급여를 받는 어르신 중 저소득층 또는 장애인은 본인부담금 경감이나 면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면제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감면 대상: 월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일반 어르신
- 감면 폭: 본인부담금의 60~100%까지 지원
👉 요양시설 이용 시 부담이 큰 분들에게 매우 중요한 제도입니다.
✅ 마무리 정리
📌 부모님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주민센터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꼭 문의해보세요!
정부지원금주요 내용월 예상 지원금기초연금 65세 이상 저소득 어르신 최대 334,000원 장기요양보험 등급에 따라 요양 서비스 월 100만~200만 원 상당 생계급여 생계 보장 현금 지원 월 70~80만 원 노인일자리 수당 공공 근로 참여 월 20~30만 원 요양급여 감면 본인부담금 경감/면제 부담금 0~40% 수준
🔔 함께 보면 좋은 글
👉 [기초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 [75세 이상 운전면허 갱신, 치매검사부터 교육까지 완벽 가이드]👉 [2025년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대상, 혜택, 신청방법 총정리]
반응형'실버타운·노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농업경영체 등록 방법|지원금 받기 위한 첫 단계 (2) 2025.04.10 🌾 2025년 공익직불제 신청 방법|자격 요건부터 유의사항까지 (0) 2025.04.10 기초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최신 기준 총정리 (0) 2025.04.03 실버타운 입주비용, 얼마나 들까? (1) 2025.04.03 2025년 실버타운 입주 조건 총정리 (0) 2025.04.02